작년에도 많았던 러브버그가 올해도 나타났습니다. 작년보다 더 많은 러브버그가 기승을 부리는 것 같은데요. 러브버그는 붉은 등우단털파리로 중국 남부지역 쪽에 서식하는 곤충입니다. 우리나라에 많아진 이유아 퇴치법을 알아봅시다.
1. 러브버그
러브버그는 파리에 속하는 곤충입니다. 붉은등우단털파리로 성충이 된 파리가 암컷과 수컷이 붙어 다니면서 비행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러브버그라는 불립니다. 이 러브버그는 중국 남부지역, 오키나와 같은 지역에 서식합니다. 러브버그는 작년 7월 개체수가 폭증하였는데, 장마와 산이 많은 북한산 인근에 많이 발생했습니다. 은평구와 같은 지역에서 많은 출몰로 피해를 입었습니다.
올해는 더 퍼져서 강서구, 양천구에 이어 인천지역에도 보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서울 서북부 지역에 많았던 작년과 달리 서남부까지 퍼졌습니다. 개체수가 너무 많아져서 혐오를 일으켜 피해가 이만저만이 아닙니다. 저도 운전하고 다니면 러브버그 몇 마리가 계속 차에 붙어 신경이 많이 쓰입니다.
2. 러브버그는 해충? 퇴치하면 안 되는 이유
러브버그는 불쾌감을 주는 것과는 달리 익충입니다. 인간을 물지 않고 질병을 옮기지도 않습니다. 독성도 없으며 썩은 잡초를 먹고 꽃의 수분을 도와줍니다. 또, 러브버그의 유충은 토양을 유익하게 해 주고, 진드기까지 잡아주기 때문에 환경정화에 도움을 주는 익충입니다. 하지만 암수가 붙어 다니면서 날아다니는 모습과 수십 마리가 떼를 지어 나타나는 점이 좋지 않습니다.
3. 러브버그 퇴치 법
살충제와 같이 일반 살충제로도 퇴치가 가능합니다. 또 러브버그는 물을 싫어하기 때문에 창문이나 유리에 붙어있을 경우 분무기로 물을 뿌려 쫓아내는 것을 보건소에서 추천합니다. 아무래도 해충이 아니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그리고 러브버그는 밝은 색을 좋아해서 어두운 옷을 입으면 좋다고 합니다. 또, 방충망을 잘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러브버그는 살아있는 기간이 5일 정도밖에 안 되기 때문에 작년에는 많은 비와 자치구의 방역으로 2주일 만에 소멸하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많은 수의 러브버그가 발생했다면 보건소의 질병관리과에 연락하시면 됩니다.
4. 러브버그가 차에 붙는 이유
운전하는데 유독 러브버그가 차에 붙어 신경 쓰이게 합니다. 그 이유가 배기가스의 화학물질을 러브버그가 좋아한다고 합니다. 또 열을 좋아해서 도로의 아스팔트를 좋아하고, 밝은 색을 좋아하기 때문에 차에 유독 붙어 오는 것 같습니다. 하나 차에 붙어 죽어 사체가 남으면 차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주의해야 합니다. 차에 붙은 사체는 물수건이나 스펀지로 가볍게 제거하면 좋습니다.
마치며
아무리 익충이라고 해도 벌레이기 때문에 혐오감을 주는 건 맞습니다. 너무 많은 러브버그가 발생했을 경우 보건소 질병관리과에 연락하여 방역을 요청하면 됩니다. 오키나와 쪽에 서식하던 벌레가 서울까지 늘어난 이유는 지구의 기후변화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날이 엄청 습하고 더워진다는 것인데, 어떤 미래가 될지 무섭습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은행 우대 금리, 중도 해지 정보
청년도약계좌가 출시되었습니다. 최대 6%의 금리 적용이지만 적금의 가입 조건과 우대 금리 조건이 다릅니다. 기본금리 4.5% 우대금리와 소득 수준의 금리를 합쳐서 6%입니다. 청년도약계좌 신청
inteo.tistory.com
에어컨 송풍과 냉방 전기요금 차이 비교 및 실외기 덮개 커버 효과
2023년 여름은 엘니뇨 현상으로 인해 역대급으로 더위가 예상된다고 합니다. 에어컨이 필수가 된 시대가 된 것 같습니다. 에어컨을 사용하고 싶어도 전기요금가 만만치 않고, 또 최근 전기요금
inteo.tistory.com
'잡상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양문형 냉장고 로켓 설치 후기 LG 디오스 냉장고 S834MEE30 추천 (3) | 2024.06.04 |
---|---|
TV 수신료 분리징수 드디어 방통위 통과 시행일 언제 (0) | 2023.07.05 |
청년도약계좌 신청 조건 및 은행 우대 금리, 중도 해지 정보 (1) | 2023.06.15 |
애플페이 우리, 국민, 신한카드 출시일 및 티머니 교통카드 정보 (1) | 2023.06.14 |
민방위 대피소 찾는 법 위급재난문자 경보 발생 시 대피 할 곳 (7) | 2023.05.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