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 11을 설치하고 초기 설정을 하면 인터넷이 연결 안되어 있을 경우 네트워크 연결 화면에서 넘어갈 수가 없어서 설정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어떻게든 인터넷을 연결해서 설치를 해야 하는데 네트워크 연결을 생략하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 설치 후 설정
- 다크패턴
- 네트워크 연결 넘어가기
- 마치며
1. 설치 후 설정
윈도우11을 설치하거나 윈도우11이 설치되어있는 컴퓨터를 구매하셨으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타나고 인터넷을 연결하지 않았다면 다음 버튼이 활성화되지 않아 넘어갈 수가 없습니다. 왜 이런지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을 연동하게 하기 위한 '다크패턴'의 일종이 아닐까 싶습니다. 저 상태에서 아무것도 할 수 없고 넘어가야 윈도우 설정을 끝낼 수 있습니다.
2. 다크패턴
다크패턴은 인터넷이나 앱에서 사용자의 습관적인 행동을 악용해서 특정한 행동을 유도하여 이득을 취하는 것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음원 구독 앱이나 구독 서비스들에서 사용하지 않으려고 해지하려고 할 때 해지 신청 버튼을 찾기 어렵게 하거나 복잡하게 절차를 넣어 힘들게 하고, 막상 찾아서 해지 신청을 누르면 무료 기간을 준다고 하거나 혜택을 포기하겠습니까라고 물어보며 뭔가 잃은 기분을 주는 이런 행위들이 다크패턴에 해당합니다.
다크패턴은 2010년 영국 디자이너 해리 브링널(Harry Brignull)이 이용자를 속이기 위해 교묘하게 설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라며 다크패턴을 최초로 정의했습니다.
3. 네트워크 연결 넘어가기
다시 돌아와 윈도우 11 설정에서 네트워크에 연결을 넘어가려면 네트워크 연결 화면에서 Shift + F10을 눌러줍니다.
위와 같은 명령 프롬프트 창이 나타날 텐데 아래의 명령어를 입력해줍니다.
OOBE₩BYPASSNRO
입력하면 재부팅이 되는데 다시 윈도우 설정을 진행하면 위 화면처럼 네트워크 연결에서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지 않음'이라는 글자가 나타나며 선택하면 로컬계정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진행합니다.
마치며
이 외에도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아닌 로컬계정으로 PC를 설정하려 할 때 같은 방식으로 진행하면 된다. 왜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윈도우 네트워크 연결을 하지 않으면 진행을 못 하게 불편하게 했는지 모르겠지만 마이크로소프트의 생태계 확장을 위함임은 분명한 것 같습니다. 소프트웨어나 앱을 사용할 때 다크패턴 주의하고 사용하시길 바랍니다.
'컴퓨터 Info'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tGPT 자동 번역해서 검색하기 | 프롬프트 지니 (0) | 2023.03.13 |
---|---|
유튜브 자막 추출 및 ChatGPT를 이용한 요약하기 YouTube Summary (0) | 2023.03.07 |
윈도우 제품키 자동 입력 프로그램 만들기(배치 bat파일) (0) | 2023.03.03 |
윈도우 제품 키 1분 안에 확인하는 방법 (1) | 2023.03.02 |
윈도우10 기본 프로그램(앱) 바꾸기(크롬, 엣지 기본 프로그램 변경) (0) | 2023.03.02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