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st - 리스트
리스트 - 배열과 같이 여러개의 데이터를 나열한 자료구조이다.
list = [ 'AAA', 'BBB', 'CCC', 'DDD', 'EEE' ]
numbers = [10, 20, 30, 40, 50]
numberList = [[1, 2], [10, 20], [20, 30]]
파이썬에서 리스트는 위와 같이 대괄호로 선언한다.
리스트에는 숫자, 문자, 문자열, 논리형 등 모든 데이터를 같이 저장 할 수 있다.
리스트 안에 리스트도 넣을 수 있다.
Index - 인덱스
list = [ 'AAA', 'BBB', 'CCC', 'DDD', 'EEE' ]
numbers = [10, 20, 30, 40, 50]
numberList = [[1, 2], [10, 20], [20, 30]]
list[0] => 'AAA'
list[1] => 'BBB'
모든 리스트의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인덱스로 리스트의 아이템을 조회 가능하다.
리스트의 길이
list = [ 'AAA', 'BBB', 'CCC', 'DDD', 'EEE' ]
numbers = [10, 20, 30, 40, 50]
numberList = [[1, 2], [10, 20], [20, 30]]
len(list) => 5
len(numbers) => 5
len(strings) => 2
string = 'Hello Python'
len(string) => 12
파이썬 내장함수 len() 이용하여 리스트의 아이템 개수를 알 수 있다.
len() 함수는 문자열의 길이도 알 수 있다.
리스트와 for문
list = [ 'AAA', 'BBB', 'CCC', 'DDD', 'EEE' ]
numbers = [10, 20, 30, 40, 50]
numberList = [[1, 2], [10, 20], [20, 30]]
for i in range(len(list)):
print(cars[i])
=>
AAA
BBB
CCC
DDD
EEE
for number in range(numbers):
print(nubmer)
=>
10
20
30
40
50
for first, second in numberList:
print('첫번째 숫자 : {}, 두번째 숫자 : {}'.format(first, second))
=>
첫번째 숫자 : 1, 두번째 숫자 : 2
첫번째 숫자 : 10, 두번째 숫자 : 20
첫번째 숫자 : 20, 두번째 숫자 : 30
for 문에서 리스트 조회는 두가지 방법이 있다.
리스트 안에 리스트가 있는 경우 for문에서 지역변수 설정하여 위와 같이 내부 리스트를 조회할 수 있다.
'컴퓨터 Info > Python - 자료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Python - 선형검색 (0) | 2022.05.02 |
---|---|
Python - 딕셔너리 (4) | 2022.05.02 |
Python - 튜플(List) (0) | 2022.04.29 |
Python - 리스트(List) - 3 (0) | 2022.04.27 |
Python - 리스트(List) - 2 (0) | 2022.04.27 |
댓글